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loaction

창의설계축전 공모작

토목건축

  • 참가 부문

    -

  • 학과

    건축학과

  • 팀명

    Studio LDH

  • 신청자 이름

    이동현

토목건축

2023년 5월 기준 대한민국은 65세 이상 노인인구 18.4%의 고령사회이며, 빠른 고령화의 진행으로 통계청은 2025년 노인인구 구성비 20.3%의 초고령사회로 진입 할것이라 전망한다. 그렇다면 초고령화 사회로 진행되고 있는 지금, 고령층들에게 도시공간 사용의 자유가 있는가? 노인은 돌봄과 봉사의 대상이라는 편협한 인식에서 출발한 현재의 복지 관련 정책은 도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충분한 고민 없이 진행되는 환경 미화, 개별 건물 단위의 정비, 의료·복지 시설의 양적 공급에 그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도시는 여전히 고령자가 생활하기에 물리적 제약이 있으며, 고령자들은 경로당·복지관·병원 등 특정 시설만을 이용하게 되어 타 연령층 간의 도시공간 사용의 구분이 생기고 일상적 단절이 발생한다. 이러한 단절은 고령층이 도시생활에 온전히 참여하지 못하도록 사회·문화적 제약을 만들며, 타 연령층과 분리된 채 굳어진 도시공간은 서로 이해할 기회를 줄여 인식을 고착시킨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인식과 정책을 바꿀 수 없다면, 새로운 공간의 제안으로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것이 건축의 역할일 것이다. 대상지인 해방촌 일대는 노인인구 17.8%로 고령층이 많지만 급한 경사와 좁은 보행로, 보차혼용, 부족한 채광 등 고령층이 생활하기에 불편한 물리적 환경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며 타 연령층과 융화될 수 있는 공동주택을 설계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표이다. 먼저 특정 지점을 설정해 보행이 용이한 각도의 경사로를 통해 연결하고 그 주위에 공동주택을 현재의 밀도를 유지하며 배치했다. 또한 방과 방 사이의 공용거실, 각 층의 공용공간, 마당 등 점차 확장되는 공유공간을 설정하고 그 공간에 답사를 통해 발견했던 해방촌이, 또 고령층이 경사를 대하는 방식을 담은 요소를 배치해 기존 해방촌의 느낌을 받아줄 수 있도록 설계를 진행했다. 노인은 더 이상 우리가 봉사하고 돌보아야 하는 대상이 아닌 도시공간 내에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돼야 한다. 이제는 敬老堂이 아닌 京老堂이 필요할 때다.

담당부서학생행정실

전화번호880-2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