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공대 웹진

서울공대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공대상상 웹진

공대상상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공지사항

공대뉴스

서울공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인재양성관 준공식 개최

서울공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인재양성관 준공식 개최

서울공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인재양성관 준공식 개최 국내 반도체 연구 및 우수 인재 양성의 허브 구축 ▲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인재양성관 준공식 기념사진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하 서울공대)은 지난 6월 16일 관악캠퍼스에서 반도체공동연구소 인재양성관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내 반도체 산업의 연구 및 교육 생태계를 이끌어온 핵심 기관인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는 연간 3만여 건 이상의 반도체 공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1,200명 이상의 인재를 양성해왔다. 이번에 준공된 인재양성관은 연구소의 성과 및 경험을 바탕으로, 반도체 인력양성의 중앙 허브로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이날 준공식에는 서울대학교 유홍림 총장, 교육부 오석환 차관을 비롯해 서울대학교 김영오 공과대학장, 삼성전자 현상진 부사장, SK하이닉스 신상규 부사장, DB하이텍 최창식 부회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테이프 컷팅식과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김재하 운영부장의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이혁재 연구소장의 환영사, 유홍림 총장과 오석환 차관의 축사 순으로 이어졌다. 유홍림 총장은 축사를 통해 "이번 인재양성관 준공을 계기로 서울대학교가 반도체 분야 인재 양성과 연구의 글로벌 중심지로 더욱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이혁재 소장은 "이번 준공은 반도체공동연구소가 지난 37년간 축적한 역량을 기반으로 미래의 핵심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세계적 수준의 반도체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2023년 6월 20일 기공식을 시작으로 약 2년간의 공사 기간을 거쳐 완공된 인재양성관은 지하 1층, 지상 6층 규모로, 건축면적은 991.33㎡, 연면적은 4,202.58㎡에 달한다. 6층에는 행정 및 운영 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3층부터 5층까지는 연구자들을 위한 연구실과 회의실, 2층에는 반도체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실과 교육지원실이 마련돼 있다. 특히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같은 공간에서 소통할 수 있도록 조성된 연구실은 학생들이 시편 제작, 측정·분석을 모두 한 장소에서 할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따라서 향후 반도체공동연구소의 연구 혁신과 우수 인재 양성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인재양성관은 반도체 분야의 실질적 연구와 실무 중심 교육의 핵심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그동안 ‘대한민국 반도체 인재 양성의 요람’ 역할을 해온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는 이번 인재양성관 개관을 통해 새로운 리더십을 선보일 계기를 맞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인재양성관 조감도[문의]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박신근 팀장 / 02-880-5458

2025.06.17

서울공대 기계공학부 윤병동 교수, 스프링거 네이처 ‘Editor of Distinction Awards 2025’ 수상

서울공대 기계공학부 윤병동 교수, 스프링거 네이처 ‘Editor of Distinction Awards 2025’ 수상

서울공대 기계공학부 윤병동 교수, 스프링거 네이처 ‘Editor of Distinction Awards 2025’ 수상  연구자 커뮤니티 성장 및 우수한 학술 생태계 구축 공로 인정받아 ▲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윤병동 교수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윤병동 교수가 세계적인 학술 출판사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가 주관하는 ‘Editor of Distinction Awards 2025’의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Editor of Distinction Awards는 스프링거 네이처가 자사 학술지를 이끄는 편집위원을 대상으로 매년 수여하는 시상 프로그램이다. 연구자 커뮤니티의 성장을 도모하고, 저자와 독자 모두를 위한 수준 높은 학술 생태계를 구축한 편집자를 선정해 시상한다. 2017년부터 최적설계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 ‘Structural and Multidisciplinary Optimization(SMO)’의 시니어 편집위원(Senior Review Editor)로 활동 중인 윤 교수는 탁월한 편집 활동과 연구자 커뮤니티에 대한 헌신을 인정받아 ‘Author Service Award’를 수상했다. 윤 교수는 최적설계 분야에서 저자와 독자, 그리고 연구자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해왔다. 특히 엄정한 심사 품질 유지와 저자 지원, 저널의 학문적 방향성 제시에 있어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인 바 있다. 따라서 이번 수상은 윤 교수의 이 같은 기여와 공로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쾌거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윤 교수는 "편집자로서 연구자들의 소중한 성과가 공정하게 평가받고, 연구자 사이의 지적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도록 힘써왔다“면서 ”이러한 노력이 인정받게 되어 큰 보람을 느끼며, 앞으로도 최적설계 분야를 비롯한 학문 커뮤니티의 지속적인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한편 지난 2001년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The University of Iowa)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윤 교수는 산업 인공지능, 신뢰성기반 해석 및 설계, 메타구조해석 및 설계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쳐왔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와 세계적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가 발표하는 세계 상위 2% 과학자로 선정되어 학자적 명성을 얻은 바 있다.㈜원프레딕트의 창업자 겸 CEO이기도 한 윤 교수는 미국 메릴랜드 주립대학교(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교수와 한국PHM학회 전임 회장을 역임했다. 아울러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세메스 등 국내 대기업에서 기술자문 교수로 활동해 온 바 있다. 현재 국제PHM학회(PHM Society) 석학회원(Fellow), 한국공학한림원(NAEK) 회원, 현대자동차 신뢰성 자문위원회 의장, PHM 공동연구실 책임교수를 맡고 있다.또한 윤 교수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2021), 한국신뢰성학회 대상(2021), 한국PHM학회 공로상(2021),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2021), 국무총리 표창(2019), 서울대학교 신양 학술상(2017),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Young Faculty Development Award(2009)를 받았으며, 글로벌 데이터챌린지 대회에서 18회 수상했다. 그리고 지난 25년 동안 약 210편의 논문을 저널에 게재하고, 500편 이상의 논문을 학술대회에서 발표했을 뿐 아니라, 80건 이상의 국내외 특허를 등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아울러 지금까지 박사 37명, 석사 36명, 박사후과정 10명을 배출했다. 특히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 대학교(UIUC), 럿거스 대학교(Rutgers University), 메릴랜드 주립대학교(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코네티컷 대학교(University of Connecticut) 등 국내외 대학의 교수 16명을 배출한 바 있다.▲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윤병동 교수가 수상한 스프링거 네이처 주관 ‘Editor of Distinction Awards 2025’의 ‘Author Service Award’[문의]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윤병동 교수 / bdyoun@snu.ac.kr

2025.06.16

서울공대, 원스톱 학생지원 서비스 플랫폼 ‘공인(工人)’ 개소식 개최

서울공대, 원스톱 학생지원 서비스 플랫폼 ‘공인(工人)’ 개소식 개최

서울공대, 원스톱 학생지원 서비스 플랫폼 ‘공인(工人)’ 개소식 개최 - 전담 카운슬러 맞춤형 상담 및 학내외 지원 프로그램 연계해 제공 - 학생 생활 데이터 수집·분석해 효과적 지원정책 수립 예정 ▲ (가장 왼쪽)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이정웅 학생회장, (왼쪽에서 두 번째) 현송교육문화재단 오성철 사무국장, (왼쪽에서 세 번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김영오 학장, (오른쪽에서 세 번째) 서울대학교 유홍림 총장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하 서울공대)은 지난 6월 10일 관악캠퍼스 300동에서 공학인재역량센터 ‘공인(工人)’의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현송교육문화재단의 기금으로 설립된 ‘공인’은 원스톱 학생지원 서비스 창구로서 전담 카운슬러를 통한 맞춤형 상담과 학내외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합·연계해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이다. 이날 행사에는 서울대 유홍림 총장, 서울대 공과대학 김영오 학장, 현송교육문화재단 오성철 사무국장, 서울대 공과대학 이정웅 학생회장 등 교내외 주요 인사를 비롯해 서울공대 재학생 약 30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축사에 나선 유홍림 총장은 “서울대는 학생들이 소통·협업·창의적 문제 해결력 등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그간 기숙대학 프로그램 활성화, SNU Commons 조성 등 다양한 제도와 공간을 만들어왔다. 오늘 문을 여는 ‘공인’은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앞으로 ‘공인’이 학생 개개인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디딤돌이 되어 서울대는 물론, 우리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길 바란다”고 축하를 전했다. 김영오 공과대학장은 “학생들이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을 길러줄 비교과 프로그램을 충분히 제공하고, 학생들은 이러한 기회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공인’의 성공적인 운영과 성장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약속한다”고 밝혔다.이정웅 공과대학 학생회장은 “‘공인’의 개소는 단순히 시설 하나가 새로 생겼다는 걸 넘어, 서울공대가 이제 학생 한 명 한 명의 성장에 본격적으로 주목하겠다는 선언”이라며 “앞으로 학생들이 방황하지 않고 삶과 진로를 주도적으로 설계하도록 ‘공인’이 이정표가 돼주길 기대하며, 저 또한 학생 대표로서 그 비전에 부응하고자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향후 ‘공인’은 세 가지 중추적 기능을 통해 학생들이 성장하고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한층 더 넓힐 예정이다.우선, 원스톱 학생지원 서비스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수요에 따라 적합한 학내외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맞춤형으로 추천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에 이뤄졌던 학과(부) 단위 학생 관리의 한계를 넘어, 전문 카운슬러가 전공·진로·연구 등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상담과 안내를 제공한다. 아울러 학생들의 비교과 활동 기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해 보다 정교하고 실효성 있는 학생 지원 정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서울대학교 공학인재역량센터 ‘공인(工人)’ 개소식 기념사진[문의]서울대학교 학생행정실 이영민 팀장 / 02-880-7010 / ymllee@snu.ac.kr

2025.06.13

서울대학교공과대학 학과/학부를 소개합니다.

건설환경공학부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자세히 보기

건설환경공학부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자세히 보기
USER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