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공대 웹진

서울공대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공대상상 웹진

공대상상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공지사항

공대뉴스

서울대 공대-의대, 학제간 융합연구 2025년도 과제 선정식 및 2024년도 과제 발표회 개최

서울대 공대-의대, 학제간 융합연구 2025년도 과제 선정식 및 2024년도 과제 발표회 개최

서울대 공대-의대, 학제간 융합연구 2025년도 과제 선정식 및 2024년도 과제 발표회 개최혁신적 진단 기술 및 의료기기 개발한 공학-의학 공동 연구 성과 공유 ▲ (왼쪽에서 열한 번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김영오 학장, (왼쪽에서 열두 번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정은 학장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지난 19일 관악캠퍼스 공대 대형강의동 43동에서 ‘공대-의대 학제간 융합연구 2025년도 과제 선정식 및 2024년도 과제 발표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공대-의대 학제 간 융합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혁신적 미래 의료기술 개발의 시너지를 창출하고, 두 대학 사이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기존의 독립적 연구가 이루지 못했던 획기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장으로 마련됐다. 이날 2025년의 신규 연구 과제로는 ▲항생제 내성 병원균의 생체분자 상분리 기능성 연구(공대 기계공학부 신용대 교수, 의대 미생물학교실 염진기 교수)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 기능 향상을 위한 착용형 고관절 로봇 보조 및 개인화 보조 전략의 유효성 평가(공대 전기정보공학부 김진수 교수, 의대 재활의학교실 정선근 교수) ▲기계 학습을 활용한 미숙아 조기 폐동맥고혈압 발생 예측모델 개발(공대 전기정보공학부 도재영 교수, 의대 소아과학교실 김한석 교수) ▲신생아 중환자실 적용을 위한 신생아 괴사성 장염 조기예측 및 신속 진단용 휴대형 바이오센서 개발(공대 재료공학부 김영은 교수, 공대 소아과학교실 김이경 교수) ▲뇌 질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최소침습형 자가전개 뇌표면 디바이스 및 고주파 신호복원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공대 재료공학부 강승균 교수, 의대 의공학교실 강홍기 교수) ▲CD59×HER2 비대칭 이중항체에 의한 보체 활성화 및 면역원성 세포사멸 기반 불응성 고형암 면역치료제 개발(공대 화학생물공학부 정상택 교수, 의대 약리학교실 이창한 교수)이 선정됐다. 이어서 지난 2024년에 학제간 연구가 수행된 ▲마스크형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인공지능 디지털 바이오마커 추적 기술 기초연구(공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의대 이비인후과학교실 박무균 교수) ▲구급이송침상 공기기류조절 시스템 개발 및 감염제어 효과 평가(공대 건축학과 여명석 교수, 의대 응급의학교실 신상도 교수), ▲안구 삽입 후 섬유화를 일으키지 않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기반 초미세 스텐스 개발(공대 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 의대 안과학교실 김태우 교수) ▲뇌졸중 환자의 상지재활 시스템 개발 및 임상 효과 분석: 인공근육 기반 글러브 타입의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및 뇌파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활용 재활 시스템(공대 기계공학부 박용래 교수, 의대 재활의학교실 백남종 교수), ▲뇌 질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최소침습형 자가전개 뇌표면 디바이스 및 고주파 신호복원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공대 재료공학부 강승균 교수, 의대 의공학교실 강홍기 교수) ▲우주미세중력 모사 환경에서 치매치료 패러다임 융합연구(공대 항공우주공학과 박형준 교수, 의대 생리학교실 전양숙 교수) 등 6개 과제에 대한 결과 발표와 상호 토론이 진행됐다. 공과대학 김영오 학장은 “이번 행사가 단순한 성과 발표를 넘어, 공학과 의학이 만나 세계적 수준의 융합연구 허브를 구축하고 새로운 연구 영역을 창출하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면서 “나아가 특정 분야의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AI 역량을 겸비한 ‘양손 인재’와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융합적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혁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서울대는 앞으로도 초학제적 융복합 연구를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의과대학 김정은 학장은 “올해 19주년을 맞은 공대-의대 융복합 연구사업이 새로운 의학적 발견과 공학적 혁신을 이끌어내며 미래 융합 연구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한 만큼, 이번에 선정된 과제들이 도전적 시도를 통해 의미 있는 결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며 “향후 서울대는 융합 연구를 넘어, 의대생과 공대생이 학부 단계에서부터 함께 배우는 융합 교육을 추진해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문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연구행정실 김은아 담당관 / 02-880-7012 / kima@snu.ac.kr

2025.09.24

서울대, 삼성전기와 ‘첨단소재 산학협력센터’ 설립 MOU 체결

서울대, 삼성전기와 ‘첨단소재 산학협력센터’ 설립 MOU 체결

서울대, 삼성전기와 ‘첨단소재 산학협력센터’ 설립 MOU 체결 소재 분야 원천기술 확보 및 AI 공정기술 개발 등 공동 추진키로 ▲ (왼쪽부터) 서울대 재료공학부 장호원 교수, 서울대 공대 김성재 대외협력위원장, 삼성전기 박봉수 부사장, 삼성전기 최재열 부사장, 삼성전기 정해석 부사장, 삼성전기 주혁 연구소장, 서울대 박은수 기획부처장, 삼성전기 장덕현 사장, 서울대 공대 심병효 교무부학장, 서울대 공대 김영오 학장, 서울대 재료공학부 홍석현 교수, 서울대 이명규 재료공학부장, 삼성전기 김홍석 마스터, 서울대 재료공학부 정인호 교수, 삼성전기 김정렬 상무, 삼성전기 윤석현 마스터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하 서울공대)은 서울대와 삼성전기가 MLCC 제품/기술 경쟁력 제고 및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첨단소재 산학협력센터'를 함께 설립한다고 밝혔다.서울대와 삼성전기는 산학센터인 '첨단소재 산학협력센터'를 세워 소재·부품 분야와 AI 공정 등 제품개발 전 영역의 기술력을 확보하는 데 뜻을 같이해 MOU를 체결했다.지난 22일 서울대 관악캠퍼스 공과대학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김영오 학장, 심병효 교무부학장, 김성재 대외협력위원장, 이명규 재료공학부 학부장, 삼성전기 장덕현 대표이사 사장, 최재열 컴포넌트사업부장 부사장, 주혁 중앙연구소장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양 기관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향후 5년간 첨단소재 산학협력센터에서 소재·부품 및 AI를 활용한 공정 등에 대한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특히 서울공대 교수 10여 명이 참여해 MLCC제품 재료·공정 연구 및 메커니즘 해석 기반의 원천기술 확보를 주도하고 산학협력의 성과를 견인할 계획이다.또한 해당 과제에 참여하는 석·박사급 연구원을 대상으로 우수 인재 양성 및 확보를 위한 채용 연계 활동도 병행할 계획이다.서울대 공과대학 김영오 학장은 “이번 MOU는 서울대가 첨단 소재·부품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특히 이러한 블럭펀딩 형태의 산학협력은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지속가능한 연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협력 모델"이라고 평가했다.삼성전기 장덕현 사장은 “소재·부품 산업의 기술경쟁이 갈수록 첨예해지면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들의 경쟁이 심해지고 있다”며 “이번 서울대학교와의 협약은 삼성전기의 기술 경쟁력은 물론, 한국 소재·부품 산업의 뿌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문의]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홍성현 교수 / 02-880-6273 / shhong@snu.ac.kr

2025.09.23

서울공대 기계공학부 한경원 교수, ‘제3회 미래를 빛낼 차세대리더상’ 수상

서울공대 기계공학부 한경원 교수, ‘제3회 미래를 빛낼 차세대리더상’ 수상

서울공대 기계공학부 한경원 교수, ‘제3회 미래를 빛낼 차세대리더상’ 수상  ▲ (왼쪽) 이산하 세계청년리더총연맹 총재, (오른쪽) 한경원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한경원 교수가 ‘제3회 미래를 빛낼 차세대리더상 시상식’에서 SCIENCE 부문 최고 영예인 ‘NEW LEADER AWARDS IN SCIENCE’를 수상했다.세계청년리더총연맹(총재 李山河, WORLD FEDERATION OF POWER LEADERS) 부설 언론기관인 사단법인 세계언론협회(WPA), 대한민국 국회(국회의원 허종식), 미래를 빛낼 차세대리더상 조직위(NLA) 등이 9월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공동 주최한 제3회 미래를 빛낼 차세대리더상 시상식에서 한경원 조교수는 SCIENCE 부문 최고 영예인 ‘NEW LEADER AWARDS IN SCIENCE’를 수상했다.이날 행사에는 세계청년리더총연맹 이산하(李山河) 총재, 허종식 국회의원, 정희용 국회의원, 장종태 국회의원, 박상웅 국회의원, 한지아 국회의원, 이주영 국회의원, 세계총연맹 상임고문 문주현 MDM그룹 회장, 상임고문 이치수 세계언론협회(WPA) 회장(현 전국언론단체총연합회(NFPO) 회장 겸 신문협 회장), 세계총연맹 이희준 자문위원, 류제리 자문위원, 방극천 자문위원(현 KBS 교수협의회 회장), 유승흠 한국의료지원재단 이사장, 송동섭 동남보건대학교 이사장, 양윤호 한국영화인협회 이사장, 김정기 머큐어 앰베서더 울산호텔 회장, 박성희 교단 전국여성회장, 정상규 한미우호증진협회 부총재 등 정•재계 인사와 의학•의약계, 언론계, 학계, 교계, 문화계, 세계청년리더총연맹 관계기관 및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등 500여 명이 참석해 대성황을 이뤘다.도전과 혁신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 가치 창출 기여 청년 격려‘미래를 빛낼 차세대리더상’은 도전과 혁신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 가치를 창출한 청년들을 발굴하고 격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회적 불공정과 구조적 모순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전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 중 SCIENCE 부문 상은 과학 발전과 인류의 미래에 기여할 잠재력을 인정받은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한경원 교수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한경원 교수는 소프트 로보틱스 분야의 세계적 연구자로, 의료와 헬스케어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점이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연구 성과와 학문적 기여한 교수는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 로보틱스 구동기와 센서를 개발하며 인체와 안전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로봇 요소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수술, 이식형 기기, 진단 등 다양한 의료 응용 분야에서 차세대 의료 로봇 구현의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원격 수술의 안전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햅틱 기술, 조직과 부드럽게 상호작용하는 심장 보조 기기, 생체 정보를 실시간 측정하는 웨어러블 센서 개발 등을 통해 헬스케어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이 같은 연구 성과는 국내외에서 높이 평가받아 MIT Technology Review Innovators Under 35 Asia Pacific, 국제로봇자동화학회(ICRA) New Generation Star, 국제소프트로보틱스학회(RoboSoft) Rising Star, 세계 여성 로봇학자 50인 선정 등 주요 국제적 수상 경력으로 이어졌다. 이번 수상은 한국 과학기술계 차세대 리더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더불어 한 교수는 학문적 성과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학계와 사회에도 활발히 기여하고 있다. 국제로봇자동화학회(IEEE Robotics and Automation Society) 기술활동회 Associate Vice President와 햅틱스 기술위원회 공동 위원장을 맡아 국제 로봇 연구 커뮤니티의 발전을 이끌고 있으며, 차세대 연구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 멘토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한 교수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 안전성과 치료 효율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는 로봇 기술의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며 “소프트 로보틱스를 결합한 의료 로봇 기술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수상은 저와 함께 연구를 이어온 학생들과 공동 연구자들의 노력이 함께 만든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도전과 혁신을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이어 나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한편, 한경원 교수의 이번 수상은 창의성과 리더십을 겸비한 차세대 과학 리더로서 잠재력을 말해준다. 특히 그의 연구와 활동은 불확실한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에게 과학과 혁신이 희망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025.09.17

서울대학교공과대학 학과/학부를 소개합니다.

건설환경공학부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자세히 보기

건설환경공학부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자세히 보기
USER
SERVICE